- 책 소 개
-
동학사상은 조선 후기, 대외적으로는 서구 열강의 제국주의적 침탈의 위험에 포위되고, 대내적으로는 정치 경제적 혼란으로 사회적 위기감이 극도에 달하던 시기에 경주 사람 최제우에 의해 창도되었다. 새로운 정치제도와 새로운 세계관이 절실하게 요구되던 역사적 상황에서 수운 최제우는 백성의 생활을 구제하는 구세의식(救世意識)을 자신의 책임으로 각성하게 되고, 수년간의 명상 수련을 통해 새로운 세계관[東學]인 무극대도를 깨닫는다. 무극대도는 우주의 존재와 생성을 가능하게 하고, 우주에 내재하는 신성한 생명의 원리를 말하는 것으로 모든 개체들은 이 원리에 의해 유기적으로 소통하며 조화와 평등한 연대 속에서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제우의 대각의 시점은 우주와 인간이 화해하고 인간과 인간의 원한이 종식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 ‘후천개벽’의 역사적 시점인 것이다. 최시형은 최제우의 무극대도를 생의 근거로 인식하고 새로운 미래를 살게 하는 회복의 원천, 즉 신성한 생명 원리로 받아들인다. 1864년 수운 최제우가 ‘사도난정(邪道亂政)’이라는 죄목으로 처형당한 이후, 최시형은 조선이 멸망으로 가는 시기와 동학의 후천개벽이 출발하는 바로 그 시기에 동학을 조직적으로 포교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결국 민중 반란의 흐름을 만나 동학의 조직은 혁명조직으로 전환되고, 최시형은 그 주모자가 되어 처형당한다. 그의 사상은 그 시대 상황 속에서 화해와 공경을 근본으로 하는 만유와의 우주적 연대 정신을 파괴하는 봉건세력과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항거의 원리로 자연스럽게 전환된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최시형의 사상을 이해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논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최시형의 사상이 갖는 현대적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책의 1부에서는 최시형 사상의 특징을 이돈화의 철학적 해설과 그 이후의 동학 연구와 관련시켜 알아보고 있다. 2부에서는 최시형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해월신사법설’ 37편 전문을 실었다. 지금까지 동학사상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 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와 학생들, 우리 사상을 제대로 알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훌륭한 안내서 역할을 할 것이다.
- 저자 소개
-
지은이 : 이규성
1971년 서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동양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83년에서 1989년까지 영남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그 후 현재까지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내재의 철학: 황종희』(1994),『생성의 철학: 왕선산』(2001), 논문으로는「朱子의 한계를 통해 본 戴震의 비판적 철학」(1982),「李大釗의 형이상학과 정치의식」(1990),「康有爲의 세계의식과 이상사회」(2003),「朱熹와 李延平: 사유의 전환과 구조」(2008),「한국현대철학에서의 두 가지 변증법과 사상의 혁명」(2009),「무한모순의 변증법과 생성의 세계」(2010) 외 다수가 있다.
- 차 례
-
시리즈를 펴내며
머리말
1| 최시형의 ‘표현’과 ‘개벽’의 세계상
1. 시대와 사상의 특징
2. 두 가지 방법과 능동적 신비주의
3. 경험과 표현(表顯)
4. 세계 불안과 자기 인식[自己知]
5. 개방성과 연대성
6. 때[時]와 개벽(開闢)
7. 심령의 윤리와 영적 코뮤니즘
8. 표현의 정치학
2| 해월신사법설(海月神師法說)
一. 천지이기(天地理氣)
二. 천지부모(天地父母)
三. 도결(道訣)
四. 천지인·귀신·음양(天地人·鬼神·陰陽)
五. 허(虛)와 실(實)
六. 심령지령(心靈之靈)
七. 대인접물(待人接物)
八. 영부주문(靈符呪文)
九. 수심정기(守心正氣)
十. 성(誠)·경(敬)·신(信)
十一. 독공(篤工)
十二. 성인지덕화(聖人之德化)
十三. 천도(天道)와 유불선(儒佛仙)
十四. 오도지삼황(吾道之三皇)
十五. 개벽운수(開闢運數)
十六. 수도법(修道法)
十七. 부화부순(夫和婦順)
十八. 부인수도(婦人修道)
十九. 향아설위(向我設位)
二十. 용시용활(用時用活)
二十一. 삼경(三敬)
二十二. 천어(天語)
二十三. 이심치심(以心治心)
二十四. 이천식천(以天食天)
二十五. 양천주(養天主)
二十六. 내수도문(內修道文)
二十七. 내칙(內則)
二十八. 십무천(十毋天)
二十九. 임사실천십개조(臨事實踐十個條)
三十. 명심수덕(明心修德)
三十一. 수도(修道)
三十二. 삼재(三災)
三十三. 포덕(布德)
三十四. 오도지운(吾道之運)
三十五. 강서(降書)
三十六. 강시(降詩)
三十七. 기타(其他)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