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소 개
-
30년간 30만 부 이상 판매된 한국 요리책의 정석!
세계 최대 인터넷 서점 아마존에서 ‘한국 요리 최고의 레시피’로 선정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은 1993년 초판이 출간된 이래 30만 부 이상 판매된 한국 요리책의 정석과 같은 책이다. 한국일보의 <장명수 칼럼>에 연재되어 화제가 되었던 이 책은 시어머니가 외국에 사는 며느리들에게 틈틈이 요리법을 적어 보낸 편지를 엮은 것으로, 사진이 없는 요리책으로 더욱 유명하다. 화려한 요리 사진은 없지만 조곤조곤 말하듯 쓰인 음식 조리법을 순서대로 따라 하다 보면 맛있는 음식이 완성된다는 독자들의 찬사가 쏟아졌다.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에는 몸에 좋고 맛있는 음식을 가족에게 해주려는 어머니의 사랑이 책 곳곳에 맛깔스럽게 배어 있다. 단순히 요리 재료와 과정만을 나열한 것이 아니라 재료를 다듬고 보관하는 법, 장보는 요령, 요리할 때의 주의사항 등 경험으로부터 나온 따뜻한 조언이 듬뿍 담겨 있다.
이 책에는 밥, 국, 찌개, 조림과 볶음, 저냐, 나물, 김치 등 주요 한국 요리가 총망라되어 있을 뿐 아니라 샌드위치, 스파게티, 마파두부, 누룽지탕 등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서양식과 중국식 요리까지 소개되어 있다. 또한 후식, 아기 이유식, 손님 접대용 음식, 그리고 명절, 제사, 생일 등 특별한 날에 자주 먹는 요리의 조리법과 상차림에 대한 설명까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저자는 누가, 언제 만들더라도 항상 같은 맛을 낼 수 있도록 재료와 양념의 분량을 정확하게 계량해 제시하고 음식 만드는 과정과 요령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요리에 서툰 초보자들도 어렵지 않게 60년간 음식을 만든 한국 어머니의 손맛을 그대로 낼 수 있다. 명실공히 한국 요리책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을 통해 몸에 좋은 우리 음식 만들기의 즐거움을 느끼게 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소개
-
지은이 : 장선용
1940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이화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졸업 후 이화여자대학교에서 10년간 근무하다가 남편의 직장을 따라 미국과 인도네시아, 필리핀에서 살았다. 한국으로 돌아온 뒤 미국에서 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이 방학에 올 때마다 맛있는 음식을 해주고 싶은 마음에서 요리에 취미를 붙이게 되었다. 한국 요리의 대가 강인희 선생에게 정통 한국 요리를 사사했다.
외국에 사는 며느리들에게 요리법을 적어 보낸 편지를 모아 책으로 엮은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이 1993년 발간된 이래 30만 부 이상 팔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97년에는 영문판 『A Korean Mother’s Cooking Notes』를 간행, 주부 요리 전문가로 국내외에 이름을 날리게 되었다.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프레몬트에 거주하며 한국 요리 강습과 칼럼을 통해 한국의 요리를 널리 소개하고 있다.
미국에 정착하면서부터는 샌프란시스코 <중앙일보>에 요리 칼럼을 연재하고 교포 대상으로 요리 교실을 여는가 하면 한식을 맛보고 싶다고 청하는 곳이 있으면 몇 날 며칠 동안 수십 명, 수백 명분의 음식을 장만해 먼 길도 마다하지 않고 달려가는 한식 전도사로 살아왔다. 외국인 입맛에 맞춰 변형시킨 요리가 아니라 가장 한국적인 요리를 맛보이고 가르치는 것이 진정한 한식의 세계화의 길이라고 믿는 그는 한식이 이렇게 맛있는 음식이었느냐며 놀라워하는 외국인들과 교포들의 감탄에 마음 가득 뿌듯함을 느낀다고. 영문판으로도 출간된 그의 요리책은 세계 최대 인터넷 서점 아마존에서 ‘한국 요리 최고의 레시피’로 선정되기도 했다. 전통 한식 요리를 누가 만들어도 같은 맛을 낼 수 있도록 계량하고 쉽게 풀어 쓴 레시피로 정평이 나면서 일찌감치 한식의 세계화의 길을 개척한 셈이다.
- 차 례
-
증보판을 내면서
우리들의 요리책(장명수)
며느리에게
일반 상식
장보는 요령
늘 준비해 두면 편리한 기본 양념
1. 밥
2. 국
3. 찌개
4. 조림과 볶음
5. 찜
6. 구이
7. 저냐
8. 죽
9. 장아찌
10. 나물
11. 김치
12. 장류
13. 기타
14. 중국식
15. 후식과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떡
16. 손님 접대용
17. 아기에게 해먹일 수 있는 음식
18. 특별한 행사 때의 음식
후기
우리 시어머니 이야기
음식 이름 찾아보기